Posts

“미국 추상은 사기” 폭탄 발언한 美 예술가, 대대적 재조명되다[영감 한 스푼]

Image
  필립 거스턴, 그리기, 담배피기, 먹기, 1973년. 사진: ©  The   Estate   of   Philip   Guston , 김민 촬영. 그레타 거윅 감독의 영화 ‘바비’가 인기를 끌면서 분홍색이 유행이라고 하죠. 오늘 만날 이 그림에도 분홍빛이 가득하지만, 그 분위기는 ‘바비’와는 전혀 다릅니다. 그림 속 분홍은 거칠고 새빨간 선을 만나 피가 흐르는 살을 연상케 하기 때문이죠. 누군가 쓰러져 더미처럼 쌓인 듯 이 그림의 뒤편에는 구두가 한가득 장벽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 앞에는  무기력하게 침대에 누운 얼굴이 눈만 껌뻑 이며 담배 연기를 내뿜고 있죠. 팔도 다리도 없는 이 형상의 배 위에는 케이크가 잔뜩 놓여 있습니다. 이 작품은 미국의 화가 필립 거스턴(1913~1980)이 1973년 그린 ‘그리기, 담배피기, 먹기’입니다. 대충 보면 귀여운 것도 같지만 자세히 보면 섬뜩한 이 그림에는 무슨 사연이 있을까요? “미국 추상은 사기다” 거스턴은 러시아계 유대인으로 1913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1919년부터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살았습니다. 이때 미국에서는 흑인과 유대인을 상대로 잔혹한 테러를 자행했던  KKK 단이 기승을 부리고 있었죠. 러시아에서 캐나다, 미국으로 이주하며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던 거스턴의 아버지는 1923년 목숨을 끊습니다. 그런 아버지를 처음 발견한 것은 바로 10살 아들, 필립 거스턴이었습니다. 이런 차별의 비극은 추후 거스턴의 작업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필립 거스턴,  Dial , 1956. 휘트니미술관 소장 사진: 김민 그림을 곧잘 그렸던 거스턴은 예술고등학교를 다니게 되고 여기서 잭슨 폴록과 친구가 됩니다. 1950년대 무렵 미국은 추상 회화가 대세를 이루었고, 거스턴도 잠시나마 이런 흐름을 따르게 됩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분위기 속에서 추상 회화는 러시아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항하는 예술로, 평론가들에 의해 정치적 메시지를 담지 않은 ‘순수 회화’로 여겨졌습니다. 거스턴은 이런 흐름에 반감을 느끼고